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조카인 프레드 트럼프는 다음 주 출간될 예정인 '올 인 더 패밀리: 트럼프와 우리는 어떻게 이렇게 되었는가'(All in the Family: The Trumps and How We Got to Be This Way)'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일화와 발언들을 폭로했다. 프레드 트럼프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형 프레드 트럼프 주니어의 아들이다.
NYT가 입수한 책 사본에서 프레드는 재임 기간 중 지지자들을 모아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을 당시 소름이 돋았던 일화를 소개했다.
프레드는 "일부 지지자들이 중증 장애를 가진 가족을 돌보는 가슴 아픈 이야기와 비싼 비용을 이야기할 때 삼촌도 몰입한 것처럼 보였다"면서도 "(그러나) 삼촌은 만남이 끝난 후에는 자신을 옆으로 끌어당겨 그들(장애인)이 처한 상황과 모든 비용을 고려할 때 그런 사람들은 죽게 내버려둬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장애인에 대한 이 같은 발언은 가족들에게도 향했다고 한다. 프레드는 아들이 발달 및 지적 장애를 갖고 태어나 치료비에서 가족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프레드는 "치료비가 바닥나 삼촌에게 도움을 요청했을 때 삼촌은 "모르겠다. 그(프레드 아들)는 너를 알아보지 못한다. 그냥 죽게 내버려두고 플로리다로 가는 게 낫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런 말을 듣고 놀라지 않았다. 지지자들과 만남 후 집무실에서 했던 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며 "그때는 죽어야 할 사람이 다른 사람이었고 이번에는 내 아들이었다"고 덧붙였다.
프레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과거 인종차별 발언을 한 일화도 소개했다. 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1970년대 자신의 자동차가 파손된 후 "깜둥이들(niggers)이 한 짓을 봐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한 프레드는 책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부친(프레드의 할아버지)의 유언장에서 자신과 동생을 제외시키면서 발생한 법적 싸움도 소개했다. 이는 지난 2020년 프레드의 여동생인 메리앤 트럼프 배리가 폭로한 내용에서도 나타난다. 당시 메리앤 트럼프 베리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부친이 치매 증세를 보이자 자신에게 유산이 상속되도록 유언장을 변경했다고 주장했다.
프레드는 모든 문제가 해결된 후 삼촌이 골프장으로 초대한 후 "우리는 끝났지?"라고 물었고 "그렇다"고 대답하자 자신을 안았다고 밝혔다.
NYT는 프레드의 책을 통해 트럼프 가족에겐 점수 매기기와 불화가 삶의 방식이라는 것이 분명히 드러난다고 전했다. 프레드도 "이 집안(트럼프 가족)에선 돈이 되는 데까지만 피가 흘렀다"고 밝혔다.
아울러 프레드는 집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의 통화 내용을 들은 일화도 언급했다. 그는 삼촌이 들으라는 듯 스피커폰으로 통화했고 압둘라 2세 국왕은 미국이 이슬람국가(IS) 수괴 아부 바크르 알 바그다디를 사살한 것에 감사를 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삼촌이 내 앞에서 "내가 그를 개처럼 죽였다"며 자랑했다고 밝혔다.
■토스·키움 인터넷은행 재참여 무게…네이버·신한 들어올까 ■집권 2기 모디 인도 총리 "한국서 성장·복지 답 찾는다"
■'기록행진' 한국 1인당 전기사용량…日보다 높고 美보다 낮아 ■5·18 최후항전일 27일 부활제 엄수…오월 영령 추모 ■가족과 함께하는 휴식·문화…29일 문화가있는날
■마킹 않고 시험지에 쓴 답 인정 시도한 고교…항의에 철회 ■수동 정지 한빛 1호기, 재발 방지까지 가동 중지 ■러 우주로켓 벼락 맞고도 '멀쩡'…"탑재 위성 정상궤도 올려" ■케플러망원경 자료 재분석해 지구급 행성 18개 새로 찾아내
■대전서 맨홀 작업 중 근로자 3명 쓰러져
■영도 봉래산 전망대 바닥 꺼져 가족 3명 다쳐
■여주시, 30일부터 버스노선 73개 감축…주52시간제 여파 ■아파트 안방서 40대 여성 시신…'지인' 남성 용의자 체포 ■응급환자 태운 것처럼 '얌체 질주' 사설구급차…암행순찰에 적발 ■지방 공기업 업무비 결제도 제로페이·직불카드 허용
■"놀라지 마세요"…28·29일 진주 상공에 '블랙이글스' 뜬다
■갈수록 꼬이는 르노삼성차…노조 27일 지명파업 ■베트남서 돼지열병 지속 확산…국토 3분의 2가 몸살
■ 동양의 베네치아' 부푼 꿈…송도 워터프런트 첫 삽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달 1일 자정까지 심야영업
■1분기 전국 건축 인허가·착공·준공 면적 일제히 감소 ■워마드에 청해부대 순직하사 조롱 글…해군 "모든 방안 강구" ■50대 사업가 납치살해 후 자살기도' 조폭 하수인 체포 ■목줄 안 묶여 여자아이 문 삽살개 주인 벌금 200만원형 ■"장난으로" 아파트 30층에서 계란 상습 투척한 중학생 검거
■뺨때리기 대회서 우승한 러시아 남성…유튜브서 '벼락스타' 등극 ■피아트·르노, 합병 추진…세계3위 자동차업체 탄생 ■[프로야구 순위]SK·두산·NC·키움· LG.삼성.한화.KT.KIA.롯데 ■U-20 에이스 잃은 남아공, 수비축구와 공격축구 사이에서 갈팡질팡 ■손흥민 각오 "UCL 결승도 평소처럼, 어떤 경기든 인생을 걸고 뛴다"
■손흥민 '1591억' 다롄 이적설?..中팬 질투가 만든 해프닝
■텍사스 추신수, 시즌 9호 홈런... 통산 200 홈런 –2
■'류현진 독무대' NL 사이영 레이스, 류아독존 시즌 최대 격차! ■류현진, 31일 뉴욕 메츠 상대로 시즌 8승 도전
■트럼프 “중국과 협상 아직 아냐...관세 더 올릴 수 있어”
■트럼프·아베 “대북정책 미일 완전히 일치”...무역교섭은 시선 엇갈려 ■중국, 위안화 공매도 세력에 ‘큰 손실’ 경고 ■트럼프 "북한과 좋은일 많이 있을거라 생각...美-北 존중 형성" ■트럼프 대통령과 나루히토 일왕의 부부동반 만찬
■신원식 “文정부 한미관계, 이혼 수순…노무현 때보다 더 나빠”
■최영함 장병 사망 초래한 ‘끊어진 훗줄’…해군 “전에도 사고 있었다”
■이혜훈, 정보위 소집 반대한 나경원에 "이해 안돼"
■게임중독 질병코드 부여에 복지부-문체부 충돌 ■[세종청사에서] 전기료 인상 VS 재정부담...딜레마 빠진 산업부 ■반도체부터 화장품까지...15개 업종 투자 활성화 방안 나온다
■피아트크라이슬러, 르노에 50대 50 합병 제안…세계3위 업체 예고 ■미·중 무역 전쟁에 위협받는 대만 '공급망' 업체 ■이언주 “대한민국, 거의 자살 상황...나라 떠나고 싶다는 국민 많아”
■유성엽 “일하는 국회의원들만 월급받도록 국회법 개정 추진”
■트럼프 "언젠가 미ㆍ중 무역합의 나올 가능성 매우 크다"
■서훈-양정철 만찬 논란.."사적 모임" vs "부적절"
■한수원, '한빛1호기 열출력 5% 안 넘었다' 보고 누락...원안위는 책임전가 ■금의환향한 봉준호·송강호 "한국영화 100년사에 처음 있는 경사" ■고양 창릉주민들 "국토부, 적정가 보상해라"..대책위 구성
■이호룡 곧은프렌즈 대표 "자산관리, 실제 절실한 건 서민들"
■YG "양현석 동석했지만 성 접대 안 해"
■삼성 박한이, 음주운전 적발 뒤 은퇴 선언
■환자 없는 '구급차'...휴게소 갈 때도 사이렌
■현대重 주총장 단상 점거·봉쇄 못한다…법원 "방해 행위 금지" ■UAE 원전 장기 정비계약(LTMA), '팀코리아' 단독수주 무산?
■美 전 주지사 "농업지역, 미중 무역전쟁에 심각한 타격" ■국내 제약사들, '아프리카' 진출...수익성 강화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