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가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2024 파리 올림픽 개회식에서 우리나라 선수단 소개 당시 발생한 오류에 대해 사과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오후 8시께 약 10분간 이어진 통화에서 "대한민국은 하계, 동계 올림픽과 월드컵을 개최한 나라로서 대한민국 국민들이 이번 일에 많이 놀라고 당혹스러웠다"고 말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바흐 위원장에게 "각종 미디어와 SNS를 통해 이번 일에 대해 사과하고, 재발을 방지해 달라"며 "아무쪼록 남은 올림픽 일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진정한 세계인의 축제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바흐 위원장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일이 발생했다"며 "정중하고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우려하신 내용을 잘 이해했고,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파리 올림픽 개회식에서는 진행자가 우리나라 국가명을 북한으로 잘못 부르는 일이 발생했다. 우리나라 선수단이 개회식에서 유람선을 타고 입장하자 장내 아나운서가 불어로 한국을 'Republique populaire democratique de Coree'로 소개했고, 영어로는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라고 반복했다. 각각 불어와 영어로 북한을 가리키는 말이다.
IOC 위원인 이기흥 회장은 "IOC에서도 심각하게 이번 사건을 받아들이고 있다"며 "개회식에서 이런 실수를 알게 된 뒤 체육회는 IOC와 곧바로 접촉해 문제를 제기하고 공식 서한을 발송하는 등 신속하게 대처했다"고 설명했다.
이기홍 회장은 "태극기를 거꾸로 다는 일은 종종 있었지만, 우리나라 국가명을 영어와 프랑스어 모두 북한으로 부르는 일은 전혀 상상도 못 한 어처구니없는 일"이라며 "IOC와 파리 조직위에 서면과 구두 등의 방식으로 직접적이며 솔직하게 잘못을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고 부연했다.
북한이 정상적인 한미훈련을 빌미 삼아 심야에 휴전선 인근에서 연쇄 도발을 강행하며 남북 간 군사합의를 정면으로 위반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내놨고, 정부는 5년 만에 대북 독자 제재 카드를 꺼내 들었다.
14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전날 강원도 철원에서 실시된 한미의 포사격 훈련에 반발하며 포병과 공군기, 탄도미사일을 동원해 접경지역 전역에서 심야 무력 시위를 펼쳤다. 북한 군용기 10여 대는 지난 13일 오후 10시 30분부터 14일 0시 20분까지 9·19 군사합의상 비행금지구역의 북쪽 5㎞까지 바짝 붙어 위협 비행을 했다. 군당국은 F-35A 등 전투기를 긴급 출격해 맞대응에 나섰다.
북한은 이날 오전 1시 49분께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1발을 발사하고 동·서해안에서 도합 170여 발의 방사포를 발사해 해상완충구역에 포탄을 떨어뜨렸다. 이에 국방부와 합참은 각각 대북 전통문과 경고성 성명을 통해 9·19 군사합의 준수를 촉구했다. 하지만 북한은 이 같은 군 경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이날 오후 5시부터 동·서해상으로 390여 발의 포병사격을 재차 감행했다. 합동참모본부는 14일 오후 5시께부터 6시 30분께까지 북한 강원도 장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90여 발, 오후 5시 20분께부터 7시께까지 서해 해주만 일대에서 90여 발, 서해 장산곶 서방 일대에서 210여 발 등 총 390여 발의 포병 사격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1시간 넘게 이어지는 포탄소리에 서해 북단 연평도 주민들은 긴장 상태에서 저녁을 보내야 했다. 연평면사무소는 마을 방송을 통해 북측 해상 사격 소식을 알리며 "주민들은 놀라지 말고 자택에서 대기해 달라"고 안내했다. 해경도 군당국으로부터 상황을 전파받고 연평도뿐 아니라 백령도와 소·대청도 인근 해상에서 조업하던 어선 130여 척을 대피시켰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한의 방사포 사격이) 남북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방사포 도발로) 군사합의를 위반한 것은 북한"이라며 "합의가 계속 유지될 것인지, 파기될 것인지는 결국 북한 태도에 달려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는 이날 핵·미사일 개발과 대북 제재 회피에 관여한 북한 인사 15명과 기관 16곳을 독자 제재 대상에 추가로 지정했다. 우리 정부가 대북 독자 제재를 추가 실시한 것은 2017년 이후 처음이며,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첫 번째 독자 제재다. 정부는 "최근 북한이 우리를 대상으로 전술핵 사용을 상정하며, 전례 없는 빈도로 일련의 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것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토스·키움 인터넷은행 재참여 무게…네이버·신한 들어올까 ■집권 2기 모디 인도 총리 "한국서 성장·복지 답 찾는다"
■'기록행진' 한국 1인당 전기사용량…日보다 높고 美보다 낮아 ■5·18 최후항전일 27일 부활제 엄수…오월 영령 추모 ■가족과 함께하는 휴식·문화…29일 문화가있는날
■마킹 않고 시험지에 쓴 답 인정 시도한 고교…항의에 철회 ■수동 정지 한빛 1호기, 재발 방지까지 가동 중지 ■러 우주로켓 벼락 맞고도 '멀쩡'…"탑재 위성 정상궤도 올려" ■케플러망원경 자료 재분석해 지구급 행성 18개 새로 찾아내
■대전서 맨홀 작업 중 근로자 3명 쓰러져
■영도 봉래산 전망대 바닥 꺼져 가족 3명 다쳐
■여주시, 30일부터 버스노선 73개 감축…주52시간제 여파 ■아파트 안방서 40대 여성 시신…'지인' 남성 용의자 체포 ■응급환자 태운 것처럼 '얌체 질주' 사설구급차…암행순찰에 적발 ■지방 공기업 업무비 결제도 제로페이·직불카드 허용
■"놀라지 마세요"…28·29일 진주 상공에 '블랙이글스' 뜬다
■갈수록 꼬이는 르노삼성차…노조 27일 지명파업 ■베트남서 돼지열병 지속 확산…국토 3분의 2가 몸살
■ 동양의 베네치아' 부푼 꿈…송도 워터프런트 첫 삽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달 1일 자정까지 심야영업
■1분기 전국 건축 인허가·착공·준공 면적 일제히 감소 ■워마드에 청해부대 순직하사 조롱 글…해군 "모든 방안 강구" ■50대 사업가 납치살해 후 자살기도' 조폭 하수인 체포 ■목줄 안 묶여 여자아이 문 삽살개 주인 벌금 200만원형 ■"장난으로" 아파트 30층에서 계란 상습 투척한 중학생 검거
■뺨때리기 대회서 우승한 러시아 남성…유튜브서 '벼락스타' 등극 ■피아트·르노, 합병 추진…세계3위 자동차업체 탄생 ■[프로야구 순위]SK·두산·NC·키움· LG.삼성.한화.KT.KIA.롯데 ■U-20 에이스 잃은 남아공, 수비축구와 공격축구 사이에서 갈팡질팡 ■손흥민 각오 "UCL 결승도 평소처럼, 어떤 경기든 인생을 걸고 뛴다"
■손흥민 '1591억' 다롄 이적설?..中팬 질투가 만든 해프닝
■텍사스 추신수, 시즌 9호 홈런... 통산 200 홈런 –2
■'류현진 독무대' NL 사이영 레이스, 류아독존 시즌 최대 격차! ■류현진, 31일 뉴욕 메츠 상대로 시즌 8승 도전
■트럼프 “중국과 협상 아직 아냐...관세 더 올릴 수 있어”
■트럼프·아베 “대북정책 미일 완전히 일치”...무역교섭은 시선 엇갈려 ■중국, 위안화 공매도 세력에 ‘큰 손실’ 경고 ■트럼프 "북한과 좋은일 많이 있을거라 생각...美-北 존중 형성" ■트럼프 대통령과 나루히토 일왕의 부부동반 만찬
■신원식 “文정부 한미관계, 이혼 수순…노무현 때보다 더 나빠”
■최영함 장병 사망 초래한 ‘끊어진 훗줄’…해군 “전에도 사고 있었다”
■이혜훈, 정보위 소집 반대한 나경원에 "이해 안돼"
■게임중독 질병코드 부여에 복지부-문체부 충돌 ■[세종청사에서] 전기료 인상 VS 재정부담...딜레마 빠진 산업부 ■반도체부터 화장품까지...15개 업종 투자 활성화 방안 나온다
■피아트크라이슬러, 르노에 50대 50 합병 제안…세계3위 업체 예고 ■미·중 무역 전쟁에 위협받는 대만 '공급망' 업체 ■이언주 “대한민국, 거의 자살 상황...나라 떠나고 싶다는 국민 많아”
■유성엽 “일하는 국회의원들만 월급받도록 국회법 개정 추진”
■트럼프 "언젠가 미ㆍ중 무역합의 나올 가능성 매우 크다"
■서훈-양정철 만찬 논란.."사적 모임" vs "부적절"
■한수원, '한빛1호기 열출력 5% 안 넘었다' 보고 누락...원안위는 책임전가 ■금의환향한 봉준호·송강호 "한국영화 100년사에 처음 있는 경사" ■고양 창릉주민들 "국토부, 적정가 보상해라"..대책위 구성
■이호룡 곧은프렌즈 대표 "자산관리, 실제 절실한 건 서민들"
■YG "양현석 동석했지만 성 접대 안 해"
■삼성 박한이, 음주운전 적발 뒤 은퇴 선언
■환자 없는 '구급차'...휴게소 갈 때도 사이렌
■현대重 주총장 단상 점거·봉쇄 못한다…법원 "방해 행위 금지" ■UAE 원전 장기 정비계약(LTMA), '팀코리아' 단독수주 무산?
■美 전 주지사 "농업지역, 미중 무역전쟁에 심각한 타격" ■국내 제약사들, '아프리카' 진출...수익성 강화 나선다